많은 마케터들이 '전환수'라는 숫자에 기대어 판단합니다. 특히 특정 매체에서 전환이 많아 보이면, 그 매체가 "효율이 좋다"고 판단하곤 하죠. 하지만 이 판단이야말로 퍼포먼스 마케팅의 가장 위험한 오류 입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보고 있는 전환은 대부분 **'직접 전환'이 아니라 '간접 전환'**이기 때문입니다. 1. 전환의 착시: 클릭했다고, 그게 마지막 행동일까? 많은 광고 플랫폼은 '라스트 클릭 전환'을 기준으로 성과를 집계합니다. 이 방식은 마지막으로 클릭한 광고에 모든 전환 공을 돌립니다. 하지만 실제 구매 행동은 그렇게 단선적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일차: 유튜브에서 영상 광고를 봄 2일차: 블로그 리뷰를 검색해 읽음 3일차: 네이버에서 브랜드 검색 후 클릭 → 구매 이 경우 대부분의 애드 플랫폼은 마지막 클릭인 네이버 브랜드 검색광고 에 전환을 귀속시킵니다. 하지만 실제 영향은 복합적 이죠. 👉 전환수는 언제나 '시작점'이 아니라 '끝점'입니다. 그 사이의 여정을 무시하면 전략이 왜곡됩니다. 2. 간접 전환의 기간을 무시하면 생기는 오류 ⏳ 광고주 입장에서 흔히 범하는 실수 중 하나는 ‘전환 발생일’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고객의 여정은 일자와 매체를 가로지르는 구조로 움직입니다. 유튜브 광고를 보고 3일 후 검색 구매한 고객 인스타그램 광고를 보고 5일 후 직접 유입한 고객 이러한 전환을 “검색이 잘했다”고 오인하면, 실질적인 ‘도화선’을 제공한 미디어의 가치를 놓치게 됩니다. 결국 퍼포먼스 마케팅이 아닌, 리포트 마케팅 이 되고 마는 것이죠. 👉 간접 전환의 시간 간격, 접점 수, 유입 경로를 통합 분석하지 않으면 퍼포먼스 해석은 틀어집니다. 3. 데이터의 정의가 전략을 결정한다 📊 전환은 ‘정의’의 문제입니다. 같은 데이터라도 어떤 기준을 세우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전략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전환일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