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조직에는 성실한 사람이 있습니다. 말없이 묵묵히 일하고, 마감에 늦지 않고, 시킨 일을 성실히 수행합니다. 겉보기엔 이상적인 인재입니다. 문제는, 이 성실함에 인사이트가 없을 때입니다.
이들은 실수하지 않습니다. 눈치도 빠르고, 협업에도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그런데 함께 일하는 사람들은 묘한 피로감을 느낍니다. 왜일까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질문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키는 일을 의심하지 않고 그대로 실행합니다.
비효율적이더라도 충실히 따릅니다.
관찰과 해석 없이, 정해진 루틴을 반복합니다.
👉 이들은 시스템 안에서 고장이 아니라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오류’입니다.
2. 인사이트 없는 성실함이 조직에 끼치는 피해
광고회사, 특히 대행사는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과 클라이언트의 요구 사이에서 매일 새로움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 안에서 인사이트 없는 성실함은 가장 조용하게, 그러나 가장 깊게 해를 끼칩니다.
1) 루틴의 반복: 참신함이 사라진다
‘예전에도 이렇게 했으니까’라는 말이 가장 흔하게 등장하는 조직은, 실제로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는 조직입니다.
제안서는 과거 사례를 반복하고, 기획안은 성공했던 포맷을 복붙합니다.
실험 없는 반복은 점점 ‘안정’이라는 이름으로 ‘정체’를 합리화하게 만듭니다.
2) 말 잘 듣는 조직: 순종이 커뮤니케이션을 마비시킨다
광고주가 요구하면, 이견 없이 맞춥니다. 싸우지 않고, 부딪히지 않고, 수정에 즉각 반응합니다.
표면적으로는 협조적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아무런 ‘제안’이 없습니다.
‘틀릴 수 있는 아이디어’보다 ‘안전한 실행안’이 우선되며, 도전은 사라집니다.
3) 사회성 좋은 팀: 내부 평화가 사고를 방해한다
회의에서는 이견이 없습니다. 팀원 간 충돌도 없습니다. 모두가 "좋아요, 그렇게 하시죠"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내부 동의는 무기력한 회색 지대가 됩니다. 누군가는 맥락을 짚어야 하고, 누군가는 반대해야 하는데, 그 누구도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4) 광고주가 원하는 것만 반복한다
광고주의 ‘요구사항’을 충실히 따릅니다. 그래서 잘못된 브리프도 고치지 않고, 틀린 방향도 ‘수행’합니다.
그러면서 “이건 광고주가 원한 거니까”라는 말로 책임을 분산시킵니다.
결국 성과가 없을 때, “우리는 최선을 다했다”는 말 외에 할 수 있는 말이 없습니다.
👉 이런 조직은 아주 조용히 무너집니다. 충돌 없이, 실수 없이, 변화 없이.
3. 우리는 어떤 성실함을 원해야 할까?
성실함은 근면함이 아니라 태도의 정밀함입니다.
말없이 따르는 사람이 아니라, 행동 앞에 질문을 붙이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인사이트란 거창한 전략이 아닙니다. “왜 이걸 이렇게 하지?” “진짜 이게 맞나?”라고 자주 묻는 태도입니다.
실수를 감수하더라도, ‘틀릴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는 용기가 조직을 움직이게 만듭니다.
👉 우리가 원하는 건, “열심히 하는 사람”이 아니라 “의미 있게 움직이는 사람”입니다.
실무자를 위한 질문 체크리스트
나는 지금 이 업무에 ‘왜’라는 질문을 붙여본 적 있는가?
내가 반복적으로 하고 있는 일 중, 사실상 의미가 퇴색된 건 없는가?
내가 만드는 결과물이, 다음 사람의 생각을 열게 하고 있는가?
실수하지 않으려는 태도가 나의 관찰력과 실험을 막고 있지 않은가?
오늘 나는 ‘제안’을 했는가, 아니면 ‘완수’만 했는가?
조직을 지키는 건 성실함이 맞습니다. 하지만, 질문 없는 성실함은 시스템의 적이 됩니다.
토스트토스트는 일하는 사람의 태도부터, 일의 구조까지 질문합니다.
simon@toast-toast.com 으로 언제든 연락 주세요. https://www.toast-toast.com/ 에서 우리의 방식과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