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마케터들이 '전환수'라는 숫자에 기대어 판단합니다. 특히 특정 매체에서 전환이 많아 보이면, 그 매체가 "효율이 좋다"고 판단하곤 하죠. 하지만 이 판단이야말로 퍼포먼스 마케팅의 가장 위험한 오류입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보고 있는 전환은 대부분 **'직접 전환'이 아니라 '간접 전환'**이기 때문입니다.
1. 전환의 착시: 클릭했다고, 그게 마지막 행동일까?
많은 광고 플랫폼은 '라스트 클릭 전환'을 기준으로 성과를 집계합니다. 이 방식은 마지막으로 클릭한 광고에 모든 전환 공을 돌립니다. 하지만 실제 구매 행동은 그렇게 단선적이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1일차: 유튜브에서 영상 광고를 봄
2일차: 블로그 리뷰를 검색해 읽음
3일차: 네이버에서 브랜드 검색 후 클릭 → 구매
이 경우 대부분의 애드 플랫폼은 마지막 클릭인 네이버 브랜드 검색광고에 전환을 귀속시킵니다. 하지만 실제 영향은 복합적이죠.
👉 전환수는 언제나 '시작점'이 아니라 '끝점'입니다. 그 사이의 여정을 무시하면 전략이 왜곡됩니다.
2. 간접 전환의 기간을 무시하면 생기는 오류 ⏳
광고주 입장에서 흔히 범하는 실수 중 하나는 ‘전환 발생일’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고객의 여정은 일자와 매체를 가로지르는 구조로 움직입니다.
유튜브 광고를 보고 3일 후 검색 구매한 고객
인스타그램 광고를 보고 5일 후 직접 유입한 고객
이러한 전환을 “검색이 잘했다”고 오인하면, 실질적인 ‘도화선’을 제공한 미디어의 가치를 놓치게 됩니다. 결국 퍼포먼스 마케팅이 아닌, 리포트 마케팅이 되고 마는 것이죠.
👉 간접 전환의 시간 간격, 접점 수, 유입 경로를 통합 분석하지 않으면 퍼포먼스 해석은 틀어집니다.
3. 데이터의 정의가 전략을 결정한다 📊
전환은 ‘정의’의 문제입니다. 같은 데이터라도 어떤 기준을 세우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전략이 나올 수 있습니다.
‘전환일 기준’ vs ‘최초 유입일 기준’
‘클릭 기반 기여’ vs ‘노출 기반 기여’
‘단일 매체 귀속’ vs ‘멀티터치 기여 분석’
이 정의를 모호하게 둔 채 전략을 짜면, 결국 리포트에 끌려다니는 마케팅이 됩니다. 숫자가 아니라, 정의된 숫자가 전략의 뼈대가 되어야 합니다.
👉 데이터는 해석되기 전까지 아무것도 아닙니다. 해석이 틀리면 전략은 반드시 실패합니다.
실무자를 위한 자가 점검 체크리스트 ✅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전환은 ‘마지막 행동’인가, ‘시작된 여정’인가?
간접 전환 기간(1~7일, 14일, 30일)의 차이를 실제로 분석해본 적이 있는가?
가장 전환이 많아 보이는 매체가 실제 고객 여정의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가?
유입/클릭/전환의 기준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있는가?
매체별 전환율이 아니라, 기여도 구조를 평가 지표로 삼고 있는가?
퍼포먼스 마케팅은 숫자를 다루지만, 그 숫자는 해석될 때만 의미가 생깁니다. 전환이라는 결과를 보는 데서 멈추면, 결국 성과가 아니라 착시를 관리하는 마케팅이 될 뿐입니다.
지금 당신의 데이터는 정의되어 있습니까?
토스트토스트는 데이터의 해석 구조까지 설계합니다.
simon@toast-toast.com 으로 문의 주세요. https://www.toast-toast.com/ 에서 우리의 방식과 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