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틀몬스터는 왜 모자를 만들었을까요?
젠틀몬스터는 원래 안경 브랜드였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모자를 만들고, 향수를 출시하며, 구글과 함께 스마트글래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 브랜드는 지금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 걸까요?
이 글은 젠틀몬스터의 최근 행보를 단순한 ‘제품 확장’으로 해석하지 않습니다.
젠틀몬스터는 카테고리를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의 결을 확장하고 있다고 보아야 합니다.
이 브랜드는 ‘무엇을 파느냐’보다 ‘어떤 존재감을 남기느냐’에 더 집중하고 있습니다.
1. 안경 브랜드가 왜 모자를 만들까요?
IICOMBINED가 최근 론칭한 ATiiSSU는 젠틀몬스터의 모자 브랜드입니다.
가죽 캡, 로프 비니 같은 실험적 디자인, 도산공원 플래그십 스토어, 스트레이키즈의 필릭스까지 등장합니다.
표면적으로는 단순한 카테고리 확장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젠틀몬스터는 ‘머리에 얹는 것’이라는 감각의 연속성을 통해 이 브랜드를 연결합니다.
안경이 얼굴의 정체성을 감각화했다면, 모자는 그 위를 덧씌우는 레이어입니다.
존재감을 구성하는 물리적 구조 위에, 젠틀몬스터는 감각이라는 층을 더합니다.
👉 젠틀몬스터는 안경을 파는 것이 아니라, 얼굴에 대한 철학을 제안합니다.
2. 향수 브랜드 탬버린즈는 무엇을 말할까요?
향수 브랜드 **탬버린즈(Tamburins)**는 젠틀몬스터의 자매 브랜드입니다.
블랙핑크 제니와 협업한 라인업, 성수동 플래그십 스토어, ‘향’과 ‘형태’를 연결하는 독특한 보틀 디자인이 인상적입니다.
이 역시 단순한 제품이 아니라, 감각의 서사를 말합니다.
탬버린즈는 향기를 기억의 언어로 바꿉니다.
그리고 향을 시각화할 수 있다는 젠틀몬스터의 믿음을 실현합니다.
👉 감각은 분리되지 않습니다.
젠틀몬스터는 냄새조차도 ‘보이게’ 만듭니다.
3. 기술을 다룰 때도 감각을 잃지 않습니다: 구글 스마트글래스
젠틀몬스터는 구글과 협업해 스마트글래스를 개발 중입니다.
AI 어시스턴트가 탑재되고, 메시지 전송, 내비게이션, 실시간 번역까지 가능합니다.
그런데 흥미로운 점은, 이 기술 협업에서도 기능보다 형태와 감각이 먼저 등장한다는 것입니다.
스마트글래스를 ‘기기’가 아닌 ‘존재감이 있는 물건’으로 다루는 방식입니다.
기술조차도 젠틀몬스터의 세계관 안에서는
감각을 구성하는 하나의 레이어일 뿐입니다.
👉 이 브랜드는 ‘기능을 수행하는 물건’이 아니라,
‘느낌을 남기는 대상’을 만듭니다.
4. 젠틀몬스터는 브랜드가 아니라 세계관입니다
젠틀몬스터의 확장은 제품 확장이 아닙니다.
이는 세계관의 확장이며, 감각 언어의 전개입니다.
안경은 얼굴을 구성하고,
향수는 기억을 부착시키며,
모자는 태도를 연출하고,
기술은 감각의 반복을 가능하게 만듭니다.
젠틀몬스터는 단순히 제품을 설계하는 브랜드가 아닙니다.
브랜드라는 언어를 재구성하고, 감각의 층위로 철학을 번역하는 실험을 이어가는 세계관입니다.
👉 젠틀몬스터는 ‘브랜드 경험’을 넘어서,
‘브랜드 존재감’이라는 개념을 재정의하고 있습니다.
젠틀몬스터가 모자를 만든 건 단순한 신제품 출시는 아닙니다.
그것은 또 하나의 얼굴, 또 하나의 감각, 또 하나의 철학입니다.
브랜드는 더 이상 ‘무엇을 파느냐’가 아니라 ‘무엇을 구성하느냐’의 문제입니다.
젠틀몬스터는 그 질문에 누구보다 날카롭게, 그러나 우아하게 답하고 있습니다.
토스트토스트는 브랜드의 정체성과 구조를 연결합니다.
simon@toast-toast.com 으로 문의 주세요. https://www.toast-toast.com/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