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 1. 배달의민족 – 잘못을 드러낸다는 것
배달의민족은 결제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슈를 숨기지 않고, 고객이 가장 많이 찾는 채널에서 빠르게 공유했습니다. 그들의 핵심 선택은 "감추는 대신 드러내기"였습니다.
실행 요약
공식 블로그에 사과문 게재
개발 상황을 담은 GIF 영상으로 SNS 스토리 공개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매일 업데이트 상황 전달
👉 결제 오류라는 단기적 손해보다, 장기적으로 '솔직한 브랜드' 이미지를 쌓는 전략이 더 크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사례 2. 무신사 – 참여를 설계하는 브랜드
무신사는 신제품 홍보를 단순 광고로 하지 않았습니다. 고객이 직접 디자인을 제안하고, 그것이 실제 상품이 되는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신뢰는 브랜드가 고객을 소비자가 아닌 '동료'로 대우할 때 생깁니다.
실행 요약
전용 공모전 페이지 개설
Typeform으로 아이디어 접수 → Notion 자동 집계
심사/제작 과정 콘텐츠화 → 유튜브 공개
우승작 상품 출시 및 후기 공유
👉 브랜드가 고객에게 묻고, 그 답을 실제 제품에 반영할 때 신뢰는 자라납니다.
사례 3. 쿠팡 – 리뷰 시스템은 진실의 무대
쿠팡은 허위 후기와 무성의한 리뷰가 신뢰를 갉아먹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했고, 리뷰 시스템을 전면 개편했습니다. 리뷰는 그 자체로 신뢰를 전달하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관리되지 않으면 역으로 브랜드를 훼손합니다.
실행 요약
실구매자만 사진 리뷰 작성 가능
GCP 기반 AI로 긍정/부정 리뷰 자동 분류
인기 리뷰를 상세 페이지 상단 고정 노출
리뷰 우수 작성자 보상 프로그램 운영
👉 사용자 목소리를 진짜로 만들기 위해 기술과 구조를 아끼지 않은 전략입니다.
이 세 사례의 공통 구조: 신뢰는 설계된다
세 브랜드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신뢰를 구축했지만, 구조는 같습니다:
불확실성을 줄인다 – 정보를 숨기지 않고 드러내는 것
관계를 수동에서 능동으로 전환한다 – 참여 기회를 만든다는 것
과정의 진위를 보장한다 – 사용자 목소리를 신뢰 가능한 방식으로 보여주는 것
이 구조는 단순한 '선의'나 '감성적 소통'이 아닙니다. 신뢰는 선택의 결과이고, 그 선택은 언제나 구조 안에 있습니다.
실무자를 위한 체크리스트
브랜드 신뢰를 구조적으로 설계하기 위해, 다음 항목들을 하나씩 점검해 보세요. 현업 마케터, 브랜드 매니저, CX 담당자 모두에게 적용 가능한 실전 체크리스트입니다.
🔍 문제 대응: '감추지 말고 드러낼 준비가 되어 있는가?'
최근 발생한 고객 불만 또는 시스템 오류에 대해, 공식적인 대응을 어디까지 했나요?
고객이 가장 자주 찾는 채널(예: 자사몰 공지, 카카오톡 채널, 인스타그램 스토리 등)을 기준으로, 어떤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있나요?
사과 메시지와 함께 "어떻게 해결하고 있는지"를 공유한 사례가 최근 6개월 내에 있었나요?
🛠 고객 참여 구조: '브랜드가 고객과 함께 만들고 있는가?'
고객이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는 구조(공모전, 피드백 양식, 커뮤니티 등)가 존재하나요?
이 피드백이 실제 상품/콘텐츠/서비스 개선에 반영된 사례를 콘텐츠로 공개한 적이 있나요?
'참여 → 반영 → 재소통'의 루프가 설계돼 있나요?
🧩 후기/리뷰 시스템: '사용자 목소리가 브랜드 자산으로 전환되고 있는가?'
실구매자 인증 절차가 있는가? 허위 리뷰를 필터링하는 구조가 존재하는가?
리뷰 데이터를 정기적으로 수집·분석하여 상품·서비스 개선에 활용하고 있나요?
우수 리뷰나 진정성 있는 피드백을 콘텐츠 자산으로 재활용하고 있는가?
📊 기술 및 내부 구조: '신뢰 설계를 위한 인프라가 갖춰져 있는가?'
고객 피드백 수집 및 분류에 기술적 도구(Typeform, Notion, AI 텍스트 분석 등)를 활용하고 있나요?
문제 발생 시 내부 대응 매뉴얼(프로토콜)과 권한 체계가 정의되어 있나요?
'고객 신뢰' 관련 KPI(예: 리뷰 응답률, 이슈 대응 시간, NPS 등)를 추적하고 있나요?
각 항목에 체크가 많아질수록, 브랜드는 단순한 마케팅이 아닌 ‘신뢰의 구조’를 갖춘 조직이 됩니다.---
브랜딩이나 데이터 전략이 필요하신가요? 토스트토스트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데이터 기반 전략으로 여러분의 고민을 해결하는 파트너입니다. simon@toast-toast.com으로 문의해 주세요. 우리의 사례와 노하우는 https://www.toast-toast.co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