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매일 수많은 광고를 만납니다.
놀랍도록 닮은 디자인, 비슷한 어조의 카피, 어디서 많이 본 듯한 구조.
심지어 브랜드명까지 닮아 있는 경우도 있죠.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요?
그게 먹히니까요. 그리고 '카피'가 생각보다 쉽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진짜 마케팅을 잘하는 브랜드는 '비슷한 것'이 아니라
‘자기 것’을 만들어냅니다.
그것이 바로 카피와 오리지널의 차이입니다.
1️⃣ 카피는 빠르지만 얕고, 오리지널은 느리지만 깊다
카피는 빠릅니다. 이미 검증된 구조를 가져오면 되니까요.
누군가의 성공을 모방해 빠르게 비슷한 전환율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건 ‘그 사람의 구조’입니다.
같은 문장을 써도, 브랜드의 배경과 맥락이 다르면 완전히 다른 메시지로 해석됩니다.
예를 들어,
“고객을 먼저 생각합니다”는 어떤 브랜드에선 진심이고,
어떤 브랜드에선 아무도 믿지 않는 말이 됩니다.
오리지널은 ‘내 브랜드가 말할 수 있는 말’을 찾는 일입니다.
이건 빠르게 만들 수 없습니다.
브랜드의 기초, 고객과의 맥락, 시선, 미감—all이 연결돼야 만들어집니다.
2️⃣ 오리지널리티는 단어가 아니라 구조에서 시작된다
많은 브랜드가 “우리는 뭔가 색다른 문장, 특별한 카피가 필요해요”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 브랜드가 어떤 위치에 있고, 누구에게 말하고 있는지가 더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메시지 “지금 시작하세요”도,
코카콜라가 말할 때와, 요즘 생긴 신생 음료 브랜드가 말할 때의 톤과 무게는 완전히 다릅니다.
오리지널은 표현이 아니라 설계에서 나옵니다.
그리고 그 설계는 단순한 단어 배열이 아니라,
브랜드의 철학과 맥락을 아우르는 흐름의 구축에서 시작됩니다.
3️⃣ 왜 경험과 감각이 오리지널을 만든다고 하는가?
카피는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리지널은 브랜드의 ‘결’과 맞아떨어져야 하고,
그걸 만들려면 아래와 같은 역량이 필요합니다:
🧠 경험 (Experience)
단순히 연차가 아니라,
다양한 브랜드 문맥을 경험하고 무엇이 반복되고, 무엇이 흐름을 바꾸는지를 본 사람만이
‘지금 우리 브랜드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심미감 (Aesthetic Judgment)
아무리 메시지가 좋아도, 시각적 완성도가 떨어지면 설득력을 잃습니다.
색감, 리듬, 여백, 어조—이 모든 것이 조화를 이룰 때 브랜드의 정체성은 선명해집니다.
🌊 흐름을 읽는 감각
단순히 지금 잘 되는 콘텐츠를 복사하는 게 아니라,
다음 파도는 어디서 오는가, 어디에 놓여야 하는가를 읽는 감각
이 감각은 수많은 실패와 실험에서 만들어집니다.
4️⃣ 오리지널을 만드는 브랜드는 이렇게 다릅니다
똑같은 타겟이어도, 자사의 맥락에 맞는 언어를 사용합니다.
비슷한 제품이라도, 고객에게 다르게 설명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같은 마케팅 메시지도 ‘자기 언어’로 말합니다.
예시:
파타고니아는 “우리는 옷을 팔지 않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통해 환경과 브랜드 철학을 일관되게 전달합니다.
반면 최근 급성장한 일부 패션 브랜드는 유행하는 캠페인 톤을 복제하지만, 브랜드 고유의 철학 없이 빠르게 소모되곤 합니다.
→ 속도는 빠를 수 있지만, 기반이 없으면 금세 한계가 드러납니다.
✅ 결론
브랜드가 남기고 싶은 건 전환율이 아니라, 기억입니다.
기억은 자기 말, 자기 톤, 자기 흐름으로만 만들어집니다.
✔️ 마케터의 감각은 단지 문장을 예쁘게 고치는 능력이 아니라,
✔️ 브랜드의 정체성을 지키며 연결된 흐름을 설계하는 능력입니다.
토스트토스트는 복사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브랜드의 언어를 구조화하고, 자기 말로 설계하는 마케팅 파트너입니다.
👉 simon@toast-toast.com 으로 문의 주세요.
https://www.toast-toast.com/ 에서 우리의 결과를 확인해보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