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타게팅 광고는 마케팅에서 흔히 사용되는 기법이지만, 잘못 활용하면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많은 기업이 **'한 번 방문한 고객에게 계속 광고를 노출하면 전환율이 올라갈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무조건적인 리타게팅이 아니라, 어떤 고객을 대상으로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성패를 가릅니다. 오늘은 리타게팅의 비효율적인 방식과 이를 극복하는 최적의 전략을 소개합니다.
1. 리타게팅이 실패하는 이유
리타게팅이 효과적이려면 대상이 명확해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경우, 리타게팅 광고가 전환을 높이지 못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방문자 모수를 기준으로 타겟팅한다
🔍 문제점:
단순한 페이지 방문자에게 리타게팅 광고를 집행하면, 구매 의사가 낮은 유저까지 포함되면서 광고 효율이 떨어집니다.
📌 근거:
- Nielsen Norman Group 연구(2023)에 따르면, **일반적인 웹사이트 방문자의 평균 이탈률은 50~90%**입니다.
- Google Analytics 데이터에서도 광고 클릭 후 10초 이내 이탈하는 비율이 60%를 넘습니다.
✅ 해결책:
👉 단순 방문자가 아니라, 구체적인 행동을 취한 사용자(예: 장바구니 담기, 회원가입, 결제 시도)만을 대상으로 리타게팅을 진행해야 합니다.
💡 실제 사례:
✅ **Shopify 고객 분석 보고서(2024)**에 따르면, 장바구니를 담은 고객의 리타게팅 전환율이 일반 방문자보다 3배 높음
2) 너무 많은 광고 노출이 오히려 반감을 산다
🔍 문제점:
리타게팅 광고가 과도하게 노출되면 소비자는 브랜드에 대한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근거:
- **Facebook & Instagram 광고 연구(2022)**에 따르면,
- 리타게팅 광고가 4회 이상 노출될 경우 CTR(클릭률)이 20% 감소
- 광고 피로도가 증가하면서 광고 차단 비율이 15% 상승
✅ 해결책:
👉 리타게팅 광고의 최적 노출 빈도를 3회 이내로 설정하고, 일정 기간 후 타겟에서 제외하는 구조를 설정해야 합니다.
💡 실제 사례:
✅ Google Ads 공식 가이드에서는 리타게팅 광고의 최적 빈도를 2~3회로 제한하는 것을 권장
3) 기존 머신러닝 광고와 중복 타겟팅된다
🔍 문제점:
구글, 메타 등의 광고 플랫폼은 이미 리타게팅을 포함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별도로 리타게팅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광고 시스템이 전환 가능성이 높은 고객에게 자동으로 광고를 노출합니다.
📌 근거:
- Meta Advantage+ 쇼핑 캠페인(2023년 기준 데이터)
- 머신러닝 기반 최적화 기능이 리타게팅을 포함한 구매 가능성이 높은 유저에게 자동으로 광고 노출
- 동일 타겟을 대상으로 중복 광고를 진행할 경우 효율이 감소
✅ 해결책:
👉 리타게팅 광고를 설정할 때, 기존 머신러닝 광고와 중복되지 않도록 차별화된 타겟팅 전략을 사용해야 합니다.
💡 실제 사례:
✅ **Meta 공식 광고 가이드(2024)**에서도 머신러닝 광고와 별도로 리타게팅을 설정할 경우, 광고 비용이 30% 더 소모되지만 전환율은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 발표
2. 리타게팅을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1) '페이지 조회' 기반 리타게팅을 피하고, 의미 있는 행동을 기준으로 타겟팅한다
✅ 해결책:
✔ 효율적인 리타게팅 타겟 예시:
🔹 장바구니에 상품을 추가한 고객
🔹 회원가입 후 일정 기간 내 구매하지 않은 고객
🔹 결제 페이지까지 갔다가 이탈한 고객
📌 근거:
- Criteo 리타게팅 데이터(2023):
- 단순 방문자 리타게팅보다 장바구니 이탈 고객 리타게팅의 전환율이 3~4배 높음
- 장바구니를 담은 고객이 48시간 내 리타게팅을 받을 경우 전환율 35% 증가
2) 리타게팅 광고의 빈도수를 조절한다
✅ 해결책:
✔ 효율적인 노출 빈도:
🔹 동일 고객에게 2~3회 이상 노출하지 않도록 설정
🔹 광고 노출 후 일정 기간(예: 7일) 동안 제외
📌 근거:
- Think with Google(2024) 리타게팅 가이드
- 평균적으로 광고 노출 빈도가 3회를 초과하면 전환율이 급감
- 광고 피로도가 누적되면서 브랜드 이미지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침
3) 신규 고객 유입을 우선하고, 리타게팅은 보조 전략으로 활용한다
✅ 해결책:
✔ 효율적인 전략 조합:
🔹 신규 고객 확보 캠페인(TOF) → 리타게팅(BOF)으로 연결
🔹 리타게팅을 통한 전환율을 측정하고, 성과가 낮다면 예산을 신규 고객 확보로 조정
📌 근거:
- Deloitte 디지털 광고 연구(2023)
- 리타게팅만 진행하는 경우 전환율이 일정 수준에서 정체됨
- 신규 고객 확보와 리타게팅을 조합하면 광고 성과가 27% 증가
3. 리타게팅을 할 때 꼭 피해야 할 3가지 실수
❌ 1) 신규 고객 유입 없이 리타게팅만 집중한다
→ 리타게팅은 신규 고객이 많을수록 효과적입니다. 신규 고객이 유입되지 않으면 리타게팅 대상도 줄어들어 장기적으로 효율이 떨어집니다.
❌ 2) 광고 소재를 그대로 유지한다
→ 같은 광고를 반복 노출하면 소비자는 광고를 무시하기 시작합니다. 리타게팅 광고도 신선한 크리에이티브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 3) 전환율이 낮은 리타게팅 캠페인에 과도한 예산을 할당한다
→ 리타게팅은 최대 예산의 10~20% 내외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신규 고객 확보에 더 많은 예산을 배분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결론: 리타게팅, 제대로 활용하면 강력한 무기가 된다
✔ '단순 방문자'가 아닌 구매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타겟팅한다.
✔ 광고 피로도를 낮추기 위해 최적의 노출 빈도를 설정한다.
✔ 리타게팅은 보조 전략이며, 신규 고객 확보와 함께 운영해야 한다.
📌 리타게팅 광고를 무작정 운영하기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화해야 예산 낭비를 막을 수 있습니다.
💡 브랜드에 맞는 리타게팅 전략이 필요하신가요?
🚀 토스트토스트는 광고 최적화 및 데이터 기반 마케팅 전략을 제공합니다.
📩 simon@toast-toast.com으로 문의하세요!
댓글
댓글 쓰기